김태은 교수, SBSCNBC와 ARKO의 인문학 모바일 영상 컨텐츠 제작

[교수동정] 김태은 교수, SBSCNBC와 ARKO의 인문학 모바일 영상 컨텐츠 제작

[사진설명] 김태은 교수가 연출, 제작한 SBSCNBC와 ARKO의 인문학 모바일 영상 컨텐츠 스틸 장면 김태은 교수(공연영상학부)는 SBSCNBC와 ARKO(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만드는 인문학 프로그램 [오늘]의 모바일 영상 컨텐츠를 제작했다. 김 교수는 시각디자이너이며 타이포그라퍼인 안상수, 무용가 안은미, 음악평론가 임진모를 주인공으로 하는 3편(각 2분)의 모바일 영상을 연출하고 제작을 했다. 김태은 교수는 [안은미] 편에서는 무용가 안은미와 함께 춤과 몸짓, 그리고 우리 개인의 몸에 내재한 인류학적 움직임의 이야기를 잘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무릇 예술은 시대를 관통한다. 음악평론가 [임진모] 편에서는 시청자들에게…

도광조 교수, 동양대 사랑의열매 대학생 봉사단 발족

[교수동정] 도광조 교수, 동양대 사랑의열매 대학생 봉사단 발족

[사진설명] 「동양대학교 9기 사랑의열매 대학생 나눔봉사단」(지도교수 도광조)이 지난 17일 발대식을 가지고 캠퍼스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힘찬 전진을 다짐했다. 도광조 교수(사회복지학과)가 지도하는 「동양대학교 9기 사랑의열매 대학생 나눔봉사단」이 지난 17일 발대식을 가지고 캠퍼스 나눔문화 확산을 위한 힘찬 전진을 다짐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도광조 동양대 봉사단 지도교수와 단원 50명, 신혜영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처장 등이 참석했다. 모금회는 이날 김성호(23·사회복지학과 3) 학생을 신임 단장으로 임명하고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26명을 신규단원으로 위촉하는 한편 2016 캠퍼스 나눔도전 최우수 대학…

Mears Gregory Scott 교수, 대영고등학교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특강

[교수동정] Mears Gregory Scott 교수, 대영고등학교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특강

[사진 설명] Mears Gregory Scott 교수는 14일 대영고 영어 우수 학생 모임인 영어토론동아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제이해교육」 강의를 했다. 사진은 강의 장면과 2학년 학생들과 기념촬영 장면. Mears Gregory Scott 교수(동양대 영어사관학교)는 지난 14일(금) 영주시 대영고등학교 1, 2학년 영어토론동아리(영어 우수 학생 모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특강을 실시했다. 오후 7시 20분부터 시작된 특강은 1학년(14명) 70분, 2학년(14명) 70분 강의로 진행되었으며, 캐나다의 문화와 교육제도, 스포츠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Mears Gregory Scott 교수의 열성적인 강의와 함께 진지한 대화와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1875년…

영주시 명예홍보대사 위촉식

[교수동정] 김덕환 국제교류처장, 동양대 유학생 영주시 명예홍보대사 위촉식 참석

[사진설명] 영주시는 8일 영주시청 강당에서 동양대 외국인 유학생 44명을 영주시 명예홍보대사로 위촉했다. 위촉식에서 인사말을 하는 장욱현 영주시장과 김덕환 국제교류처장(사진1), 도안야휘 학생과 엥흐오양가 학생 대표 선서(사진2), 명예홍보단 기념촬영(사진3,4), 전통 음식 및 한과 체험(사진5) 김덕환 국제교류처장(교양학부 교수)은 4월 8일 영주시청 강당에서 열린 영주시 외국인 유학생 명예홍보대사 위촉식에 참석했다. 위촉식은 영주 홍보동영상 시청과 위촉장 수여, 홍보단 다짐과 기념촬영, 지역문화 유적지 답사 및 전통문화 체험 순으로 진행되었다. 명예홍보단은 우리 대학교…

김종구, 김성노 교수, 『제2회 늘푸른연극제』 출연 및 연출

[교수동정] 김종구, 김성노 교수, 『제2회 늘푸른연극제』 출연 및 연출

[사진설명] 평생 동안 연극이라는 외길을 걸어오며 작가로, 연출가로, 배우로 연극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배우 오현경(81세), 연출 김도훈(75세), 작가 노경식(79세), 배우 이호재(76세) 4명의 거장들의 업적을 기리는 『제2회 늘푸른연극제』 포스터. 노경식 작가의 작품 『반민특위』를 우리 대학교 김성노 교수가 연출하고 김종구 교수는 출연했다. 우리나라 연극계의 원로들을 업적을 기리는 『제2회 늘푸른연극제』에서 원로 거장인 노경식 작가(79세)의 작품 『반민특위』를 김성노 교수가 연출하고 김종구 교수는 출연 우리 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김종구 교수와 공연영상학부 김성노 교수가 『제2회 늘푸른연극제』에 참가하고 있다.…

김종구, 김성노 교수, 2017년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작 연출 및 예술감독, 출연

[교수동정] 김종구, 김성노 교수, 2017년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작 연출 및 예술감독, 출연

[사진설명] 제26회 신춘문예 공연 포스터와 예술감독 겸 출연을 하고 있는 김종구 교수, 연출을 담당한 김성노 교수 매년 초 각 일간지에서 발표하는 신춘문예 작품 중 2017년 희곡부분 당선작 7편이 무대에 올라 성황리에 공연 중이다. 올 해로 26회를 맞이하는 신춘문예 당선작 합동공연인 [2017년 신춘 단막극제] 중 경상일보 당선작 「명예로울지도 몰라, 퇴직」에 김종구 교수(연극영화학과)가 예술감독 겸 출연을, 김성노 교수(공연영상학부)가 연출로 참여하고 있다. 이 공연은 한국연출가협회 주최로 지난달 31일부터 4월 16일까지 매일…

조규화 학과장, 철도전기융합학과 코레일 안전교육 및 현장체험학습 진행

[교수동정] 조규화 학과장, 철도전기융합학과 코레일 안전교육 및 현장체험학습 진행

[사진설명] 영주기관차승무사업소 초청으로 열린 지역 대학생 초청 안전교육에서 학생들이 철도역사 및 발전과정에 대한 강의를 듣고 있다. 철도전기융합학과 학과장인 조규화 교수는 지난달 31일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코레일 안전문화 증진을 위한 안전교육 및 현장학습 체험을 진행했다. 영주기관차승무사업소 초청으로 열린 지역 대학생 초청 안전교육은 그동안 대중교통수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온 약 118년에 가까운 철도역사 및 유래와 발전과정에 대한 강의와 함께 철도현장에서…

이혜원 교수, 영주시 아동권리 및 아동안전교육 특강

[교수동정] 이혜원 교수, 영주시 아동권리 및 아동안전교육 특강

[사진 설명] 이혜원 교수(유아교육과)의 특강 모습. 이 교수는 ‘영주시 아동을 위한 권리교육’이라는 주제로 아동의 4대 권리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에 대해 강연을 했다. 이혜원 교수(유아교육과)는 지난달 23일 영주시민회관에서 열린 영주시의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및 아동안전 교육] 행사에서 특강을 실시했다. ‘우리에게도 권리가 있어요’란 주제로 열린 이번 교육에는 지역아동센터와 드림스타트의 아동,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 교수는 ‘영주시 아동을 위한 권리교육’이란 주제로 아동의 4대 권리인 생존권(안전하고 건강하게 자랄…

김정태 교수, 한국게임기자클럽 공동 주최 정책토론회 발제

[교수동정] 김정태 교수, 한국게임기자클럽 공동 주최 정책토론회 발제

[사진설명] 「게임/미디어콘텐츠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 포스터(왼쪽)와 토론 사회를 보는 김정태 교수(사진 오른쪽 중앙). 게임인연대 대표이기도 한 김 교수는 「게임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제안」을 발제했다. 한국게임기자클럽은 한국모바일게임협회, 게임개발자연대, 인디라!인디게임개발자모임, 게임인연대 등 게임산업 관련 협회, 단체와 공동으로 20대 대선을 맞아, 각 대선캠프 게임/미디어콘텐츠 정책담당자를 초청해 「게임/미디어콘텐츠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지난 25일 디캠프(D.Camp) 6층에서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우리 대학교 김정태 교수(테크노공공인재학부)는 「게임 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정이삭 교수,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용적률 게임] 귀국전 공동 기획

[교수동정] 정이삭 교수,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용적률 게임] 귀국전 공동 기획

[사진설명] 지난 3일 대학로 아코르미술관에서 열린 2016년 제15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 전시됐던 ‘용적률 게임‘ 귀국전 개막식에서 전시작품 설명을 하고 있는 정이삭 교수(사진 왼쪽) 2016년 제15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 전시됐던 ‘용적률 게임 :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 귀국전이 지난 3일부터 5월 7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번 귀국전은 우리 대학교 정이삭 교수(공공디자인학부)가 공동큐레이터로 기획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커미셔너를 맡았다. 전시 당시 한국관은 세계 유수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미국 뉴욕타임즈는 “놓쳐서는 안 될 6개 전시(S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