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동정최성해 총장, 교육에세이집 출간

 

[사진 설명교육에세이집 『대학 개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표지(사진 왼쪽)와 최성해 총장

최성해 총장은 지난 30여 년간의 교육현장에서 겪은 일들과 느낀 점들을 정리한 교육단상을 모은 교육에세이집 『대학 개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172알렙)』를 출간했다.

이 책은 그동안 『대학교육』『대학지성』 등 한국고등교육 주요 기관지와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이나 글들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고, ‘변화의 시대대학의 길을 묻다라는 시대적 화두를 바탕으로 대학의 미래를 이야기하다(1)와 청춘을 위한 제언(2)으로 구성되어있다.

1부에서는 우리 대학이 시대적 소명을 망각하고 시장의 논리에서만 교육을 바라보는 점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구체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대학 발전을 위해서 한국의 고등교육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질책하며 교육 한국의 부끄러운 자화상들을 하나씩 보여주면서 우리 대학들은 정치가 지배하는 교육이 되고 말았다고 개탄한다정치적 논리에 따라 대학들이 이 바람 저 바람에 흔들리다 보니 원래 대학의 사회적 소명들을 완수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그 여파로 전문대가 교명을 대학교와 구별 없이 바꿔 입시에 혼란을 부추기고 수업 연한을 다양화함으로써 학부모들에게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게 되었다고 한다이것이 교육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되면서 또 다른 문제들을 낳고 있다고 한다.

2부에서는 이 시대가 지향하는 지식인상을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해명하면서 그동안 주요 기관에서 행한 특강들도 수록하고 있다또한 지난 30여 년간 학생들과 함께 부대끼면서 느낀 점들을 모았다여기에는성공하는 경영자의 조건이라는 특강을 비롯하여, ‘선비정신의 현대적 의미’, ‘선비에 관한 단상’, ‘자연과 더불어 피어나는 삶의 향기’ 등이 수록되어있다최성해 총장은 학생들의 입학에 대해 축하의 향연에 눈이 부십니다라고 하고학생과 더불어 살아온 삶을 한 마디로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라고 요약했다인생을 시작하는 젊은이들에게는 새 눈()을 밟는 첫 사람으로 자신 있게 인생의 길에 나서고새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 싸우듯이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나가서 마치 계곡의 얼음이 녹아 물이 흐르며 봄꽃이 피듯이 자기의 세계를 활짝 펼치라고 조언을 하고 있다.

최성해 총장은 현재 한국교회언론회 이사장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회장으로 있으며미국 미국필라델피아 경제인연합회 사무총장과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주요 저서로는 『교육개혁 이대로는 안된다』『교수평가와 연봉제』가 있다.